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최명기
ㅇ 태어날 때 독립성과 의존성이 상당 부분 결정된다
ㅇ 친구가 주변에 많은데 불안하고 불행한 사람은 복수심 때문
: 친구간 관계는 늘 손해가 수반된다. 개의치 않아야 친구가 되
: 친구의 작은 실수에도 사과를 요구하는 경우, 속에 담아두고 사과를 받아야 직성이 풀리는 경우
: 겁이 많아서 친구의 눈치를 보거나 꼭 확인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
: 복수심+겁많음이 같이 오는 경우 많다. 표현을 못하고 속으로 끓인데
ㅇ 혼자 잘사는 사람
: 내향성, 사회적 민감성, 사회적 불편감
: 독립적인 사람
: 친구는 좋지만 시끄러운 것을 싫어하는 사람(민감)
ㅇ 모임에서 싫은 사람이 있다면 그를 빼고 모임을 만들어라
: 갈등없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면 평생 불편해야, 현명한 방법을 너무 찾지 마라
: 상황과 나의 영향력에 따라 해결책은 달라진다
: 친구를 빼고 모임을 만들면 알게된 싫어하는 친구가 화내며 따질 것이다
: 그럼 오히려 기회로 생각해 영원히 손절하면 된다
: 싫은 친구를 직접 만나는 것은 비추, 어차피 바뀌지 않고 갈등만 커져
ㅇ 진정한 친구는 알수 없다 어리석은 생각을 버려
: 진정한 친구는 위기가 닥쳐야 알 수 있다
: 어떤 위기가 올지는 알 수 없다
: 위기가 많이 찾아온 사람은 진정한 친구를 거를 수 있을 것
: 그러나 위기가 많이 찾아온 사람(당신)의 삶이 바람직할까?
: 내가 돈이 없어진 상황에 처했다. 그런 상황을 만들지 않아야. 돈 빌려주는 진정한 친구가 생겨서 좋겠지만
: 게다가 사람은 위기 앞에 약해, 버려지기 쉽다
: 우정을 유지하고 싶다면 스스로의 삶을 곤경에 빠지지 않게 철저히 관리하라
ㅇ 주변에 진정한 친구가 많다면 당신의 삶이 안정적이라는 의미
ㅇ 주변에 가식적 친구가 많다면 당신의 삶이 곤궁하다는 의미
ㅇ 감정적으로 예민한 사람과의 대화: 이들은 감정소진을 원한다
: 대화를 안 하는게 최선
: 어느 포인트에서 상처 받을지 모른다. 대화해야 한다면 그냥 듣기만 하는 게 낫다
: 어쩔 수 없다면 묵묵부답, 모르겠다, 영혼 없는 맞장구, 특히 동문서답
: 이들은 해결책을 원하지 않는다. 말해줘봐야 진 빠짐
: 네가 원하는 건 뭐니? 어떻게 생각하니? 역으로 물어보고 이야기하면 맞장구쳐주기
: 예민하고 감정적으로 약한 사람 사람들의 하소연에 해답으로 대응하지 마라
: 그들이 원하는 것은 듣는 사람의 감정 소모, 나의 에너지는 그 사람의 에너지로 전환된다
: 내가 말을 하면 대화 시간은 내가 말을 한 시간만큼 연장된다
ㅇ 자식이나 부모가 서로를 평가하는 것은 헛소리, 궁합에 따라 달라
: 가령 의존적 부모가 독립적 자식을 만나면
- 자식: 우리 부모는 너무 간섭해 짜증나!, 부모: 우리 애는 말도 안듣고 이상한 친구나 만나러 다님
: 반면 의존적 부모가 의존적 자식을 만나면
- 자식: 우리 부모는 나를 너무 사랑하고 자상하셔, 부모: 우리 애는 너무 말 잘 듣고 늘 고맙다고 말해
: 이성적 부모와 감성적 자식
- 자식: 우리 부모는 내가 우는데 꼬치꼬치 캐묻기나 하고 공감 안해줘, 부모: 우리 애는 말을 못하고 감정이 앞서 문제
ㅇ 부모에게 사랑받지 못했다? 진실은 알 수 없다
: 정말 부모의 사랑을 못받았을 수도 있고
: 반대로 자신이 유약하고 사랑을 갈구하는 성격인데 못받은 원인을 부모에게 돌리는 것일 수 있다
: 이런 사람은 자신을 많이 사랑해주는 연인을 만나면 부모의 사랑 못받음을 잊는다
: 그러다가 연인과 헤어지면 또 다시 사랑을 갈구하며 부모로부터의 사랑의 부재를 원망한다
: 영화나 소설에는 부모의 사랑없이, 부모없이 강인하게 자라나는 캐릭터가 나온다
: 이 캐릭터는 부모의 사랑이 없어서 오히려 약해져야 하는 것 아닌가?
: 즉 부모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는 상식이나 현실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
ㅇ 어린 시절의 상처 때문에 나는 ~~ 됐다가 아닌, 그 상처는 현재 내 감정의 원인이 될 수 없어 라는 것이 건강한 생각
ㅇ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 끝이 없다
: 독립을 위해 자녀의 집세, 거주지, 결혼비용을 대주는 경우 많아
: 이는 결국 자녀를 종속시킨다
: 부모가 돈을 대주면 자녀의 삶에 간섭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거부할 수 없다
: 가령 시어머니가 우리집에 비번 누르고 들어왔어요! 시어머니가 집을 사줬을 가능성이 높다
ㅇ 나이들어서 외모에 과하게 집착하지 않고 적당히 내버려 두는 것은 성숙한 태도일 수 있다
: 나이보다 어려보이는 것이 집착하는 것은 내면의 불안, 건강하지 못함의 표상
: 적당한 성형은 자존감을 올려 긍정적 효과를 가진다
ㅇ 자녀에게 존중받는 방법은 돈이다
: 돈 써서 공부시키면 원망만 받는다
: 자녀는 돈 드는 지원을 계속 원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