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월 21일 화요일
코로나19에 갑자기 나타난 한국 사회의 신뢰?
출처
https://sovidence.tistory.com/1052
한국의 코로나 대응이 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한 이유 중 하나, 특히 시민들의 성숙한 대응에 대한 설명으로 등장하는게 "사회적 신뢰". 대표적인게 코로나 사태 속에서 사회적 신뢰를 직접 조사했던 한국리서치 결과 (한국일보 기사). 코로나 사태 속에서 한국이 신뢰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까지 얘기.
그런데 한국은 사회자본과 신뢰가 부족해서 문제인 사회라고 지금까지 마구 비판받아왔음.없던 사회적 자본과 신뢰가 코로나 사태 속에 갑자기 뿅하고 나타난 이 상황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당혹스러워 하는 사회학자들. 이 블로그에 가끔 소개하는 최성수 교수도 페이스북에서 이 당혹감과 어떻게 설명할지에 대해 포스팅 (일독을 권함).
없던 사회적 신뢰가 코로나 사태 와중에 갑자기 생겨나서, 다들 사회자본 숨은 그림 찾기 중. 이 숨은 그림 찾기의 가장 간단한 (하지만 설득력은 의문인) 설명이 정부 대응력.
코로나 사태 속에 사회적 신뢰가 갑자기 나타난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하나는 타국가에서 검증된 사회자본 이론이 옳다고 믿고 정말 그런지 숨은 그림 찾기를 하는 것. 다른 하나는 사회적 자본과 신뢰라는 이론 자체에 의문을 품고, 다른 설명을 찾는 것.
나는 원래 (잘 이해를 못해서일 수도 있고) 사회자본의 설명력에 회의적. 사회자본으로 한국 사회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그리 전망이 밝다고 보지 않음. 즉, 앞서 두 개 기획 중 후자가 더 전망이 밝다고 봄.
사회학, 특히 교육사회학에서 사회자본으로 교육격차를 설명했던 학자가 콜먼. 그의 주장은 학교 효과보다는 가족, 친구 등 사회적 관계에서 형성된 "자본"이 학업 성취도를 결정한다는 것. 콜먼이 교육 성취에 사회자본을 끌어들인 이유는, 일천하지만 내가 이해하기로는, 미국은 공부를 강조하는 문화가 없기 때문. 정반대로 한국은 공부하는 문화가 일부 이웃이나 가족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형성되어 있음. 공부안하는 계층에게 공부의 사회적 자본을 불어넣어주는게 과제가 아니라, 다들 공부에 너무 미쳐있어서 완화시킬려고 노력하는 사회. 따라서 콜먼의 사회자본이론이 한국에 통하는지 의문.
즉, 한국은 적어도 교육에 관해서는 사회자본을 끌어들여서 계층격차를 설명할 필요가 없이 동질적 문화가 지배적임.
한국사회를 이해하려면 낮은 사회적 자본과 이웃에 대한 신뢰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동질적 문화의 공동체가 유지되는 이유가 같이 설명되어야 함. 동질성이 한국 사회에 대한 설명의 전제가 아니라 설명의 대상이 되어야 함.
이 동질성이 설명되지 않으니 외국 언론이 한국의 성공 이유로 유교문화를 들고 나옴. 우리는 다들 그거 아니라는거 다 아는데 답답,,,, 그럼 한국 사회 시민들이 정부의 지침을 다른 사회와 달리 매우 잘 따르는 이유는 뭔가에 대한 설명은 부족. 정부가 준비를 잘했다는 것만으로는 설명이 부족.
일부 그나마 나은 설명은 한국은 시민저항으로 민주주의를 성취했고, 대통령을 탄핵하는 등, 정부에게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주문해왔다는 것. 그런데, 사회자본 이론에 따르면 신뢰가 낮고 사회자본이 낮으면 이러한 civic engagement가 떨어짐. 뭔가 설명이 앞뒤가 안맞음.
그럼 내가 생각하는건 뭐냐?
내가 주목하는 것은 <간섭의 문화>. 김영민 교수의 <추석이란 무엇인가>에서 통쾌하게 풍자한, 극복해야 한다고 믿는 "오지랖 문화"가 실은 한국사회의 문화적 동질성을 강제하는, 신뢰는 제거되고 규범의 사회화와 사적 재제 기능이 있다는 가능성.
다수의 사회적 norm을 소수에게 강제하고 간섭하는 전국민이 탑재한,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오지랖 문화가 한국 사회에서--교육, 가족형성, 기타 행위양식의--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는 (이런 문화적 동질성에 대한 가치평가는 차제하고) 기능을 한다는 것.
한국과 달리 서양 사회, 혹은 같은 동양인 일본, 동남아 등도 이러한 간섭의 문화가 없거나 적음. 이웃, 동료, 친구는 물론, 가족 간에도 없음. 간섭을 안하고, 개인의 선택을 중시하는게 기본 규범. 심지어 의사도 환자에게 의학적 선택을 간섭하지 않으려고 함.
한국은 가족형성, 교육투자 측면에서 상당한 동질성을 유지. 계층에 따른 규범과 문화의 분화가 약함. 교육열이 높고, 10대의 미취학 비율이 낮고, 10대 임신 문제가 없고, 미혼모 문제로 부터 자유로움(강력한 사적 제재로 인해 엄두를 못냄). 다른 사회에서 겪고 있는 많은 문제를 피하면서 사회적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음. 한국인들에게는 너무 당연하다고 여기지만, 이는 국제적인 비교사회학적 관점에서 상당히 특이한 현상임. 이 때문에 한국의 사회학자에게 글로벌 사례에 천착해 한국 인구 현상의 계층적 분화에 주목하기 보다는, 인구 현상의 동질성을 먼저 설명해야 한다고 얘기하기도 하였음.
좀 더 썰을 풀자면, 동일한 규범을 강요하는 <간섭의 문화>는 가족, 친구, 이웃, 동료 등 모든 사회적 접촉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를 완전한 단절하지 않고는 피해갈 수 없고 따라서 분절된 문화 형성을 위한 별도의 사회적 자본이 필요하지 않음.
간섭은 문화적 동질성의 원천이기도 하지만 스트레스의 원천. 사회적 관계의 형성은 간섭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서 기형성된 관계 외의 사회적 관계 형성은 꺼리게 되는, 즉 혈연, 지연, 학연 등 검증된 네트워크 외부의 이웃과 관계맺기를 기피하는 원인이 되기도 함.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신뢰와 사회자본이 낮다고 나오는 조사와 상식과 완전히 부합.
이 번 코로나 사태의 성숙한 대응도 간섭의 문화로 설명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 정부에 대한 근본적인 신뢰도에 변화가 있는지는 의문. 사회적 거리두기는 신뢰의 문제라기 보다는 정책 수단의 효과. 다른 대안이 없으니 따르거나 무시할 수 밖에 없는데, Social distancing을 안하면 들어오는 온갖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간섭을 견딜 수 없고, 그 사이에 자신도 그 규범을 내재화하여, 간섭을 실천하는 주체가 됨.
출처: https://sovidence.tistory.com/1052 [SOVIDENCE]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