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27일 월요일

몬티 홀(Monty Hall) 문제

문제


ㅇ 닫힌 문 3개가 있는데 한개는 자동차, 두개는 염소가 있다. 당신이 문을 열면 상품을 얻는다.

ㅇ 행사를 진행하는 사회자는 자동차가 어느 문 뒤에 있는지 알고 있다.

ㅇ 당신이 문을 선택하면 (그 문은 닫힌채로) 사회자는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두 문 중에 염소가 있는 문 (아무거나) 한 개를 열어 확인시켜준다. (사회자는 염소가 들어 있는 문을 알고 있고 임의로 선택한다)

ㅇ 그 후 사회자는 당신에게 방금 선택한 문을 다른 문으로 바꿀 것인가 기회를 준다.

ㅇ 바꾸겠는가?






정답: 바꾸는 것이 이익, 선택을 바꾸면 차를 선택할 확률이 1/2에서 2/3로 올라가기 때문



대부분이 사람은 직관적으로 중간에 선택을 바꾸던 말던 확률은 1/2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초의 선택 뒤에 염소가 있던 차가 있던, 염소가 있는 문은 한 개 또는 두 개가 남아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오류의 원인은 맨 처음 어떤 문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사회자가 공개하는 문이 달라진다는 점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정확히는 바꾼 문이 정답일 확률이 아니라 내가 처음에 고른 문이 오답일 확률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은 처음의 선택을 유지한다. 앞서 언급한 기대값은 물론 심리학적으로도 그런데 사람은 이득보다 손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전망이론). 괜히 바꿨다가 원래 선택한 문에 자동차가 있었으면 매우 억울하기 때문이다.


선택을 바꾸면 확률이 올라가는 이유는 이것이 베이즈 문제이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선택을 무조건 바꾼다고 가정하자. 만약 첫번째 선택이 실제로 염소였는데 바꾼다면 반드시 차를 얻는다. 반대로 첫번째 선택이 차였는데 바꾼다면 염소만 얻는다. 무조건 선택을 바꿀시 염소 확률이 1/2이다. 이는 처음에 염소를 선택할 확률 2/3보다 훨씬 낮은 것(차를 뽑을 확률이 높은 것)이다. 


보다 직관적 설명은 이렇다. 맨 처음 내가 가짜를 고르는 순간(2/3확률) 사회자가 나머지 가짜를 골라줄 것이기에 다른 카드로 바꾸면 무조건 정답이므로 그대로 2/3확률. 나머지 확률은 계산할 필요도 없이 1/3확률. 말하자면 내가 처음 가짜를 고를 확률이 더 높기에 다른 나머지 문을 사회자가 가짜로 확인해준다면 역설적으로 제일 마지막에 남은 문이 진짜일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2021년 12월 26일 일요일

튤립 버블의 진실

https://mises.org/library/truth-about-tulipmania


ㅇ 브라운 대학 경제학자 피터 가버에 따르면 튤립버블은 광기라기보다는 유동성 효과때문


ㅇ 1630년대 네덜란드 화폐 공급의 급격한 증가가 버블의 원인


ㅇ 동로마 멸망후 기축통화 선정 과정에서 유럽각국의 화폐 신뢰성이 훼손

- 무역이 발전한 네덜란드는 이것이 큰 문제였고 해결하기 위해 암스테르담 은행이 설립(1609년)


ㅇ 이후 은행 이체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은행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


ㅇ 암스테르담의 무역과 은행업이 자리잡으면서 신대륙과 일본의 은이 네덜란드로 유입

- 당시 일본은 임진왜란 이후 은제련법이 발달해 은생산이 급증, 세계2위 생산국

- 당시 일본 수출품의 절반이 은


ㅇ 가격혁명(인플레)의 시기 도래


ㅇ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인디오를 수탈했다면 네덜란드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수탈한 셈


ㅇ 이에 따라 대량의 유동성이 네덜란드로 유입되었고 튤립버블의 단초가 됨

2021년 12월 18일 토요일

고배당주에 대한 미신(김단테)

 https://m.blog.naver.com/mynameisdj/222192090434


요약

: 고배당주는 특정 스타일 전략의 하나일 뿐, 딱히 우월하지 않아

: 세금에서 불리

: 똑같이 복제하면서도 세금은 덜낼 수 있어

MMT에서 재정과 민간의 부의 증가 회계처리(균형재정론은 틀렸다)

 




수메르, 바빌로니아, 그리스, 로마의 이자율(금리) 흐름

 



스케일(Scale,책), 유용한 그림들

ㅇ생명체 구조는 에너지 효율성을 달성하도록 설계된다

생물학적 망은 최대한의 공간을 채우도록 낭비를 없애며 그 결과 이차원 유클리드가 아니라 삼차원 부피의 프랙탈 처럼 표현된다. 망성능을 최적화함으로써 생기는 이 추가 차원은 생물이 사차원에서 활동하는 양 만든다, 즉 3차원 공간에 있지만 효율성을 위해 3.5차원 이상처럼 구성된다. 이는 4차원 형태를 만든다. 이 때문에 1/4 제곱의 법칙이 생명체 구성원래 곳곳에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면적보존분지(혈관이나 관다발의 모든 면적이 심장-말단이 동일) 가 있다.



ㅇ1950년 이래로 미국 주식시장에서 거래된 2만 8,853개 기업 중에서 2009년까지 2만 2,469개(78퍼센트)가 사망했다. 그중 45퍼센트는 다른 기업에 인수되거나 합병되어 사라졌고, 파산하거나 청산된 것은 약 9퍼센트에 불과하다. 3퍼센트는 개인 소유가 되었고, 0.5퍼센트는 차입 매수를 거쳐 사라졌고, 나머지는 '기타 이유'로 사라졌다.

그림 71~74는 이 자료 집합에 해당하는 기간(1950~ 2009년)에 태어나고 죽은 기업들의 생존과 사망 곡선을 수명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파산과 청산을 겪은 기업들의 곡선, 합병과 인수를 겪은 기업들의 곡선을 따로 나누었고, 각각을 매출 규모에 따라서 세분했다. 명확히 볼 수 있듯이, 자료를 어떻게 나누든 곡선들의 전반적인 구조는 거의 동일하다. 기업들을 개별 사업 부문으로 나누어도 마찬가지다. 이 모든 사례에서 생존 기업의 수는 상장된 직후











2021년 12월 11일 토요일

자유권을 열렬히 스스로 포기하는 사회

 Any society that would give up a little liberty to gain a little security will deserve neither and lose both.

(약간의 안전을 얻기 위해 약간의 자유를 포기하는 사회는, 자유도 안전도 가질 자격이 없으며 둘 다 잃을 것이다.)


벤저민 프랭클린, 자유권적 기본권에 대한 모토

1984(조지 오웰), 전체주의 속의 빅브라더

윈스턴: "빅 브라더가 존재합니까?"


오브라이언: "물론 존재하지. 당(party)도 존재하고 말일세. 빅 브라더는 당의 화신일세."


윈스턴: "제가 이렇게 존재하듯 존재한다는 겁니까?"


오브라이언: "자네는 존재하지 않네. 윈스턴."






다시 한번 무력감이 윈스턴을 엄습했다. 그는 자신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하는 이론을 알고 있었다. 적어도 상상할 수는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부질없는 짓이었다. 말장난일 뿐이었다. '너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논리적으로 맞기나 하는 것인가? 그렇게 말한다고 해서 대체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그는 오브라이언이 반박할 수도 없는 괴이한 논리로 자신을 꼼짝 못하게 하자 잔뜩 주눅이 들었다.

윈스턴: "저는...  제가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윈스턴이 힘없이 말을 이었다.

윈스턴: "저는 저 자신을 의식하고 있습니다. 저는 태어났고, 언젠가는 죽을 겁니다. 팔다리도 있습니다. 저는 공간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어떤 물체든 제가 차지한 부분을 동시에 차지할 수 없습니다. 그런 의미로도 빅 브라더는 존재합니까?"

오브라이언: "그런 건 중요하지 않네. 어쨌거나 그분은 존재하고 있다네."

윈스턴: "빅 브라더도 죽나요?"

오브라이언: "물론 죽지 않지. 어떻게 죽겠나? 다음 질문은 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