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한(恨, 한 맺히다)
ㅇ갑질
ㅇ괘씸죄
ㅇ눈치(특히 '눈치 빠르다', '눈이 보다' 의 해석이 어렵다)
ㅇ먹방
ㅇ애교
ㅇ효(孝)
ㅇ삐치다
ㅇ남부럽지 않게
ㅇ아쉽다
ㅇ억울하다(unfair, mistreated와는 뉘앙스가 다름)
ㅇ답답하다
ㅇ화병
ㅇ재벌(일본어에는 비슷한 어휘가 있음, 자이바츠(財閥))
※ 부정적 뉘앙스가 많다. 이들 단어의 대부분은 하나의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이들 단어의 문화 비교학적 기원을 살펴본다면 한국인의 정서적, 사회적 심리와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ㅇ한국어에는 날씨, 색깔, 감각, 느낌에 대한 매우 미세하고 세세한 표현이 발달되어 있다. 이는 다른 언어에서는 찾기 힘들다. 한국인들이 감각에 매우 예민하게 진화해왔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유는 왜?냐는 것
ㅇ한국어는 의성어, 의태어의 표현이 매우 다양하고 많다. 이 또한 독특한 특징
: 뒤죽박죽, 으쓱으쓱, 덩실덩실, 알록달록,
: 한국 웹툰이나 예능에 이러한 의성, 의태어로 가득한데 번역이 가장 어려운 부분중 하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