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7일 화요일

고린도전서 13 장, 사랑

1   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


2   내가 예언하는 능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 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요


3   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4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시기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5   무례히 행하지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6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7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8   사랑은 언제까지나 떨어지지 아니하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


9   우리는 부분적으로 알고 부분적으로 예언하니


10   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부분적으로 하던 것이 폐하리라


11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 아이의 일을 버렸노라


12   우리가 지금은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지금은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13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



성경, 개역개정판

2025년 10월 1일 수요일

버핏의 레버리지는 13~1.7배였고 투자 수익은 1990년대 이후 S&P500과 큰 차이가 없다

ㅇ버핏의 투자 성과(1990–2025)는 보험 비즈니스에서 조달한 레버리지(플로트)를 적극 활용한 결과로, S&P500 배당 포함 수익률을 약간 초과하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ㅇ이 점을 감안하면, 레버리지 없이 일반 주식 포트폴리오만으로 동일한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즉, 레버리지로 인한 초과 수익을 제거하면 버핏의 투자 실력이 지수 대비 크게 높지 않다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ㅇ레버리지 사용의 의미와 성과에 대해서

ㅇ버핏은 버크셔해서웨이의 보험 플로트로 평균적으로 약 1.3~1.7배의 레버리지를 운용해왔으며, 위험 자산에 과다한 레버리지는 쓰지 않습니다. 이는 펀드의 대출금 기반 레버리지와 달리 위험을 분산하며, 동원 가능한 투자금이 많았기에 가능한 전략입니다.


ㅇ실제 50년 누적 성과(1965~2024)는 BPS(주당순자산)가 약 5,502,284% 증가, 같은 기간 S&P500 배당 포함 누적 수익률은 약 24,708%입니다. 1990~2025 기간에는 차이가 축소되는 경향으로, 최근엔 시장과 비슷하거나 소폭 초과 정도입니다.


ㅇ레버리지 없는 일반 포트폴리오라면?

  : 레버리지가 없다면 동일한 투자 방식을 쓴 버핏이라도 수익률이 더 낮아졌으리란 해석이 가능합니다.

  : 업계에서는 보험 플로트를 활용한 독자적 운용이 “레버리지 효과”를 낳았다고 분석합니다.

  : 즉, 순수 주식만 운용했다면 지수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하회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타당성이 있습니다.


ㅇ버핏의 레버리지 변천사

  : 1980~2000년: 보험 플로트(레버리지) 적극 확대, 레버리지 비율 증가.

  : 2000년대 이후: 투자금 규모 증대와 함께 레버리지 비율 소폭 유지. 시장 변동성이 커질 때는 신중한 운용으로 요인이 완화됨.

  : 최근(2010~2025): 소폭 감소 추세, 현금 보유 비중이 커지고, 주식편입보다는 리스크 관리 중심 운영.


ㅇ 결국, ‘버핏의 성과=순수 투자 실력+구조적 레버리지+시스템 이해력’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단순히 레버리지 없이 평균적 개별 포트폴리오였다면 시장을 반드시 능가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First, it is an intention.

First, it is an intention. 


Then a behavior. 


Then a habit. 


Then a practice. 


Then a second nature. 


Then it is simply who you are.


- Brendon Burchard - 

2025년 9월 29일 월요일

포트폴리오 집중의 위험

https://www.marketsentiment.co/p/the-perils-of-concentration


ㅇ 1990년대 후반, 야누스 뮤추얼 펀드(Janus Mutual Fund)는 업계의 화제

  : 성장주 전문 투자로 명성을 떨쳤고, 야누스 트웬티(Janus Twenty)라는 인기 펀드를 운용

  : 일반 뮤추얼 펀드와 달리, 야누스 트웬티 펀드는 20~30개만 투자


ㅇ 이 전략은 닷컴 버블 시절에 정말 효과적

  : 시스코, 월드컴, 마이크로소프트에 집중 투자

  : 1998년 +73%, 1999년 +65%, 2000년에는 매일 10억 달러의 자금이 유입


ㅇ 닷컴 버블 붕괴시 야누스 트웬티는 가치의 69%를 잃었고, 펀드를 폐쇄

  : 엔론은 야누스 펀드의 가장 큰 투자 중 하나


ㅇ 버핏은 투자 세계에 엄청난 공헌을 했지만, 안타깝게도 매우 해로운 말을 했다

  :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고 잘 지켜보라는 말은 희대의 트롤링


ㅇ버핏은 1996년부터 코카콜라에 집중 투자했고, 지금까지도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1996년 이후 S&P 500 지수는 코카콜라보다 2.5배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코카콜라 vs S&P 500 (1996~2025)


ㅇS&P 500은 25년 9월 기준 지난 25년 동안 300%의 수익률을 올렸지만, 거래일의 53%에서만 시장이 상승해서 마감했다

  : 인간은 하락에 더 불행을 느끼므로 투자기간동안 불행도는 꾸준히 높아졌다


ㅇ회사를 설립하고 부를 축적하는 것만큼이나, 재산을 유지하는 것 또한 어렵다

  : 수많은 투자 분석들은 일관되게 말한다. 지속적인 집중투자는 결국 부를 파괴한다


ㅇ집중 포트폴리오가 수익률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흔한 오해다

  : 포트폴리오 집중도 높이면 시장의 주요 수익 종목을 놓칠 위험도 커진다

  : 기업이 파산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경영의 비효율이나 무능 때문이 아니다. 기업이 어찌할 수 없는 통제할 수 없는 요인 때문이다


ㅇ사업 실패의 주요 원인: JP모건



ㅇJP Morgan은 Russell 3000에 포함된 회사 중 40% 이상이 주가가 70% 이상 하락하는 엄청난 손실을 경험했으며 , Russell 3000에 포함된 개별 주식의 중간 수익률은 마이너스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https://privatebank.jpmorgan.com/content/dam/jpm-wm-aem/global/pb/en/insights/eye-on-the-market/agony-ecstasy-2021.pdf


ㅇ집중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관리자는 통계적으로 시장보다 실적이 저조한 주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 주식 시장 수익의 대부분은 소수의 이상치에 의해 발생한다


ㅇ모닝스타 리서치 에 따르면, 집중투자하는 펀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과 향상은 없었다.

https://www.morningstar.com/funds/portfolio-concentration-has-little-sway-returns


ㅇ생존자 편향

  : 액티브 펀드의 성공은 높은 수익을 빠른 시일내에 보여주는 "이륙 속도 달성'에 달려 있다

  : 시장은 3~5년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적절한 시기에 투자하고 약간의 행운만 따른다면 시장에서 가장 핫한 신생 펀드가 될 수 있다

  : 숙련된 마케팅의 도움을 받으면 펀드에 수십억 달러를 쉽게 투자할 수 있다

  : 그 이면에는 실패한 대다수의 펀드가 관심도 못 받고 사라졌다

  : 2024년 상반기에 93개의 신규 뮤추얼 펀드가 출시되었지만 123개가 폐쇄되었다. 아무도 실패한 펀드의 실적이나 폐쇄 사유를 알아보지 않는다

  : ARKK는 "성공한" 펀드의 가장 좋은 사례다. 2019년 초 이 펀드의 운용 자산은 10억 달러에 불과했으나 줌, 테슬라, 코인베이스 등 기술 기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고, 팬데믹 직후 급등하는 랠리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최고점에서는 운용 자산이 300억 달러에 육박했다. 단 3년 만에 30배나 증가한 것

  : 2023년 말까지 ARK 펀드는 10년 동안 가장 많은 재산을 파괴한 펀드 목록에서 1위를 차지

  : ARKK는 10년 동안 주주 가치를 약 143억 달러를 불태웠다. 이는 목록에서 두 번째로 최악의 펀드 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 Verdad Research는 펀드 수익률을 시뮬레이션하여 생존 편향을 제거한 결과, 과도한 집중으로 인해 관리자가 목표 수익률을 밑돌 위험이 두 배로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ㅇ집중이 형편없는 전략이지만 매력적인 이유

  : 집중 투자는 마치 당신도 고수익을 달설할 수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기 때문에 매력적

  : 제이슨 데볼트는 2013년부터 테슬라 주식을 매수하기 시작하여 주당 7.50달러에 2,500주를 매수했습니다. 이후 7년 동안 계속해서 매수를 늘려 2021년에는 14,850주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수익인증 글을 올렸고 큰 화제가 되었다

  : 그러나 제이슨이 한 명 있는 만큼 잘못된 주식을 선택한 사람도 수만 명이 있다

 

ㅇ결국, 투자에서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는 것이 성공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2025년 9월 13일 토요일

인생의 변곡점, 최명기 원장


https://www.youtube.com/watch?v=hpFxfAWbGFk&list=WL&index=39

최명기 원장


ㅇ 인간의 뇌는 25까지 바뀐다, 대학 전과 후가 완전히 다를 수 있어


ㅇ 결혼이 맞는 사람, 안맞는 사람, 직장이 맞는 사람 안맞는 사람 있다

  : 선택을 잘못하면 인생이 불행해져, 지옥, . 이걸 아는 것이 중요

  : 취직, 대학 1, 2년 늦거나 잘못하거나 크게 인생을 좌우하지 않아


ㅇ 40~50대 술이 중요한 변곡점


ㅇ 외모는 중요하다

  : 외모 지상주의 나쁜거 아냐

  : 외모 관리에 신경을 너무 썼다고 후회하는 사람은 없다

  : 외모 관리를 너무 무신경했다는 후회는 넘쳐나


ㅇ 공부? 회사 생활? 잘 못했다고 해서 후회하는 사람 적어


ㅇ 20대에 오히려 생각해야할 것은 자신의 가능성을 너무 높게 보지 말아야 한다는 것

  : 남이 알아주지 않는 자신의 가능성에 너무 매달리다가 시간이 날라가


ㅇ 중년 이후 큰 함정, 자녀 교육에 너무 신경을 많이 쓰는 것

  : 자식교육은 금전적 함정, 관계적 함정

  : 자식 나이가 들면 부모와의 감정의 골은 해소되지만 교육 과몰입이 가져온 골은 쉽게 치유안되


ㅇ 40대에 우울증 조심

  : 우울해지면 회사를 그만두거나, 갑자기 투자 같은 것을 시작한다(삶이 재미없어서)

  : 한방에 크게 벌고 싶어한다

  : 우울의 원인을 결혼에서 찾고 이혼하기도 해

  : 바람도 난다, 외롭고 무료해서


ㅇ 불행을 극복하기 위해 너무 노력하면 절벽으로 뛰는 것일 수 있다


ㅇ 남과의 비교 자체는 좋은 능력

  : 그러나 그 비교가 부정적 감정으로 전이되면 안되

  : 너는 그렇게 잘사는 구나, 나도 잘살아야지 이런 마인드가 되어야


ㅇ 걱정 많은 사람이 성공한다? 한계치로 가고 있다는 것

  : 걱정은 내 인생을 한계로 몰고 있다는 것


ㅇ 행복하고 재미있게 사는 것은 상당수 유전이다

  : 이들은 회복탄력성이 강하다

  : 회복탄력성이 가장 강한 사람이 도박중독자

  : 사업병도 마찬가지

  : 회복탄력성을 중립적으로 쓰지만 실제로는 주변에 피해를 주는 경우 많아


ㅇ 필립 짐바르도, 시간관 검사

  : 과거, 현재, 미래가 본인에게 많은 삶을 차지하는 사람 은 어느정도 정해져 있다

  : 과거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2가지로 더 삶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

  : 현재는 현재 긍정, 현재 염려 두가지로 나뉜다

  : 미래는 미래 지향적, 초춸적 지향성 두가지로 나뉜다

  : 초월적 지향은 도를 닦는 것처럼 생각


ㅇ 가장 행복한, 만족스러운 사람은 과거 긍정적, 현재 쾌락을 추구하면서 미래를 약간 더 생각하는 것


ㅇ 불행을 피하는 법

  : 최소한의 돈

  : 소중한 사람과 함께할 시간

  : 같이 있으면 기분이 안좋아지는 사람을 피해라

  : 나를 좋아해주는 사람을 만나

  : 게임, 유투브, 드라마로 불행을 잠시 잊는 것도 좋다


ㅇ 쇼츠나 릴스에 중독되는 것은 도파민에 절여진게 아니라 내가 그거 외에는 즐길게 없이 몰려있는 상태라는 것

  : 스스로를 불쌍히 여기고 원망하지 마라


배당 펀드로 은퇴하려는 생각의 위험성: 블룸버그

 Bloomberg, "The new american hustle dividends over day jobs"



ㅇ수십 년간의 배움, 오랜 직장 생활, 양육과 은퇴 등, 이 모든 것이 미국의 젊은이들에게는 사기다


ㅇ젊은이들은 새로운 신화를 쫒기 시작했다. 

  : 배당금 추구 전략에 돈을 몰빵하고, 꾸준한 현금 흐름을 활용해 노예같이 일하는  9 to 5에서 벗어나자

  : 수많은 인플루언서, 유투버들은 이러한 전략을 홍보하고 있다

  : 한때 투자에서 가장 지루한 요소였던 배당금이 이제 은퇴와 FIRE를 기대하는 Z세대의 새로운 핫 아이템으로 부상했다


ㅇ금융사는 이러한 트렌드를 이용해 경쟁적으로 돈을 모으고 있다

  : 2025년 전체 주식형 ETF 투자액 중 6분의 1을 인컴 창출 ETF가 차지

  : 8% 이상의 변동수익률을 기록하는 가장 공격적인 ETF는 불과 3년 만에 규모가 4배나 증가

  : 유튜브와 디스코드, 레딧의 r/dividends 포럼까지 확산

  : 이 포럼은 지난 5년간 10배 이상 성장하여 현재 회원 수는 78만 명


ㅇ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잠재적으로 투자자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

  : 역사적으로 고배당 펀드나 주식들은 성과가 좋지 않았다

  : 투자자들은 "공짜 배당 오류"에 빠져 배당금과 자본 이득을 별개의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 이러한 편향에 빠진 투자자들은 전체 수익률을 개선하지 않더라도 배당금이 증가한 펀드를 선호

  : 그들은 배당금이 주가를 희생해서 발생하는 것이고, 더 부유하게 만들어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어


다음 그래프는 각각 MSTR이라는 주식을 1) 각각 그냥 주식을 사는 경우, 2) 배당을 받아서 이를 재투자하는 경우,  3)배당수익을 재투자 하지 않은 경우, 4) 배당 수익을 인출해서 배당을 제외한 경우 성과



  : 투자자들은 현재 배당금을 장기적인 부로 오인할 수 있다

  : 높은 배당 수익률이 주가와 전반적인 포트폴리오 성장을 희생시키는 결과다



  : 아래의 그림처럼 배당 관련 펀드는 지수 인덱스보다 성과가 저조하다



  : YieldMax가 Arteaga와 같은 투자자들에게 가장 눈에 띄는 매력

  : NEOS Investments, ProShares, Defiance ETF 등수익형 상품이 인기, 높은 수수료를 받는다

  : 가장 큰 파생상품 기반 인컴 ETF는 JEPI, 이 펀드는 S&P 500지수에 대한 투자를 제공하지만, 수익률의 80%는 콜옵션 매도로 창출(커버드 콜)


  : JEPI는 2022년 시장이 20% 하락한 상황에서도 -3.5%에 불과한 방어를 제공, 하지만 출시 이후 BM 대비 약 58%p 낮은 수익률을 기록(배당 재투자 가정)



ㅇ 게다가 이러한 인컴 펀드는 세금 면에서 불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