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7일 금요일

이기주의와 자기애

루터나 칼뱅, 임마뉴엘 칸트, 프로이트 사상의 근저에 있는 가정은 이기심과 자기애(自己愛)를 같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즉, 타인에 대한 사랑은 미덕이고 자기를 사랑하는 것은 죄악이어서 서로 배타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사랑’이란 인간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적 속성으로 어떤 ‘대상’을 긍정하려는 정렬적인 욕구이다. 즉, 그것은 어떤 사람이나 대상에게도 향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도 예외는 아니다. 배타적인 사랑이란 그 자체가 하나의 모순인 것이다. 앞서 말한 이들의 사상에서 말하는 ‘사랑’이라는 것은 특정 대상으로의 방향성을 가진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단 한 사람에 대해서만 경험되는 사랑은 바로 그 사실로 말미암아 사랑이 아닌 사도마즈히즘적인 집착임이 드러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원칙적으로 나 자신도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나의 사랑의 대상이라는 사실이 유도된다. 한 개인이 자신의 삶, 행복, 성장, 자유를 긍정하는 일은 그 자신이 그것들을 받아들이는 기본적인 능력과 자신감이 있다는 데 근거한다. 오직 다른 사람밖에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은 전혀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이기주의와 자기애는 동일한 것이 아니라 정 반대인 것이다. 잘 관찰하면 이기적인 사람은 불안하며 두려움에 쫓기고 있다. 언제나 자기일만 생각하고 있고 성취도 뛰어나지만 결코 만족하지 못한다. 특히 무의식적인 동력을 관찰해보면 이들은 근본적으로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기에 대한 깊은 혐오감을 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기애가 결여되어있는 것이다.

자신을 좋아하지 않거나 스스로를 시인하지 않는 인간은 언제나 자기 자신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으며, 자신에 대한 호의와 긍정의 기반위에 존재할 수 있는 내적인 안정을 지니지 못한다. 이들은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므로 외적인 칭찬에 열을 올리게 되고 소위 자기도취적인 면면을 보인다. 표면적으로 이들은 자신을 매우 사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 반대이며 그들의 나르시시즘은 자신의 부족한 자기애를 보상받고자 하는 애처로운 시도이다.


- 자유로부터의 도피 112p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