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월 2일 일요일

성(sex)의 존재이유

성은 왜 존재하는가? 체스터필드경이 말했듯이 "섹스의 즐거움은 순간이고, 자세는 힘들고 우수꽝스러우며, 그 순간적 쾌락의 비용은 지독하다." 생물학적으로 볼 때 그 말이 맞다. 비용은 상상을 초월한다. 왜 고등 유기체는 막대한 비용을 쏟으면서까지 자신의 유전자를 절반이나 버리고 그다지 효용이 없을 것 같은 유전자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일까?

존 투비, 윌리엄 해밀턴, 그외 몇몇 학자들이 제안하고 증거도 많은 최고의 이론은, 성은 기생충과 병원균을 막기위한 방어수단이라는 것이다.

인체의 면역시스템과 병원균의 수백만년이 이르는 싸움은 군비경쟁이나 자물쇠 공과 금고털이범의 머리싸움과 비슷하다. 신체가 어떤 분자 자물쇠를 진화시키던 미생물들은 순식간에 그것을 따는 열쇠를 진화시킬 수 있다. 유기체가 무성생식하면 금고따기에 성공한 미생물은 자식들의 금고도 쉽게 따게된다. 유성생식은 세대가 바뀔때마다 금고 열쇠가 바뀌는 방법이다.
''''''''''''''''''''''''''''''''''''''''''''''''''''''''''''''''''''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712p,

댓글 없음:

댓글 쓰기